이황 인터뷰 프로필
이황 인터뷰 프로필

이황이 본 AI 교육|가르침은 마음까지 닿을 수 있을까?

시대를 뛰어넘은 인터뷰 EP.03

AI가 교실로 들어오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수학과 과학을 넘어, 도덕과 인성까지 인공지능에게 배우는 시대.
우리는 정말 '가르침'과 '마음', 지식과 인성을 분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조선 성리학의 대표 사상가이자 교육자,
이황(李滉) 선생님을 만나, AI 교육의 본질과 사람다운 배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습니다.


프롤로그: 초보 리포터, 교육을 배우러 가다

안녕하세요, 초보 리포터 랩냥입니다.
요즘 뉴스엔 ‘AI 교사’ 이야기로 가득합니다.
아이들이 인공지능에게 수학을 배우고, 영어를 배우고, 심지어 도덕도 배운다고 해요.

그런데요, 전 이상하게… 마음이 좀 복잡해졌어요.
지식은 잘 전달될지 몰라도,
'사람다운 것'은 어떻게 전달되는 걸까요?

이럴 땐… 선비님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 16세기 조선의 서원으로 찾아갑니다.
그곳엔 '가르침'이란 말의 무게를 누구보다 진지하게 생각하셨던 분이 계시거든요.

 

이황 선생님, 랩냥이 인사드리러 왔습니다.


인터뷰: 이황과 AI 시대의 교육

🐾 랩냥 리포터: 선생님, 요즘은 AI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시대입니다. 수학도, 과학도, 도덕도요. 선생님께선 이걸 어떻게 보실까요?

 

이황: 기계가 지식을 전한다는 것은, 말이 됩니다. 하지만 가르침은 지식만으로는 완성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마음과 마음 사이의 일이지요.

 

🐾 랩냥 리포터: 그렇다면, 지식은 AI에게 배우고, 인성은 따로 배우면 되는 걸까요?

 

이황: 인성은 따로 떼어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참된 배움이란, 앎과 더불어 스스로를 돌아보는 힘을 기르는 것입니다. 마음을 곧게 하고, 몸을 삼가는 훈련이 없는 배움은 얕은 바다와 같지요.

 

🐾랩냥 리포터: 요즘엔 아이들이 정답을 빠르게 맞히는 걸 잘한다고 해요. 실수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게 목표죠.

 

이황: 실수하지 않는다는 것은 칭찬받을 일이지만, 실수를 돌아보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자라지 못합니다. 스스로를 반성하고 경계하는 마음, 그것이 곧 교육의 뿌리입니다.

 

🐾랩냥 리포터: 선생님 말씀을 들으니, AI는 ‘가르치는 역할’을 해도, ‘함께 배우는 존재’는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이황: 기계는 가르칠 수 있으나, 감동을 줄 수는 없습니다. 가르침은 때로는 눈빛 하나, 말 없는 기다림 속에서도 일어납니다. 마음은 마음으로만 전해지는 법이지요.

 

🐾랩냥 리포터: 마지막으로, 이 시대의 선생님들께 한 말씀 부탁드려도 될까요?

 

이황: 사람이 사람을 기른다는 마음으로 임하신다면, 그 가르침은 결코 헛되지 않을 것입니다.


에필로그: 랩냥 리포터, 배움의 자리에 앉다

오늘은 질문을 많이 했지만, 대답은 오래도록 생각하고 싶어졌어요.

‘가르침이란 지식이 아니라, 마음을 닦는 것’이라는 말이 자꾸 머릿속을 맴돌아요.

AI가 가르칠 수 있는 건 많지만,
함께 자라는 건… 아직 사람의 몫이 아닐까요?

저는 이제야, 진짜 ‘배움’이란 단어를 이해하게 된 것 같아요.

다음 인터뷰도 기대해주세요! 랩냥은 다음 시대, 다음 인물을 찾아 또 떠납니다.

– 초보 리포터 랩냥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