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08 – 얀 르쿤: 열린 AI를 향한 신념
EP.08 – 얀 르쿤: 열린 AI를 향한 신념

EP.08 – 얀 르쿤: 열린 AI를 향한 신념


✨ 얀 르쿤, 그는 누구인가요?

얀 르쿤(Yann LeCun)은 프랑스 출신의 컴퓨터 과학자입니다.

딥러닝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현재 AI 기술의 핵심이 되는 이 딥러닝을, 그는 Geoffrey Hinton, Yoshua Bengio와 함께 만든 개척자 중 한 명입니다. 이 세 사람은 2018년, '컴퓨터 과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튜링상을 공동 수상하기도 했죠.

그는 현재 **Meta(메타)**의 수석 AI 과학자로, Meta의 AI 기술 개발 방향을 이끌고 있습니다.

"AI는 모두가 함께 만들고 나눠야 합니다."

실제로 그는 2024년 TIME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AI는 오픈소스로 가야 합니다. 우리가 다양한 언론이 필요한 이유처럼, 다양한 AI 어시스턴트도 필요하니까요.”

기술은 감추기보다 가능한 한 널리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철학입니다.


🧠 그가 만든 대표 기술: CNN

얀 르쿤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입니다.

CNN은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AI 기술 중 다음과 같은 곳에 쓰입니다:

  • 얼굴 인식
  • 자율주행차의 도로 인식
  • 의료 영상 진단

📝 주석: 합성곱 신경망(CNN)이란? 이미지를 숫자로 바꿔서, 기계가 사물이나 패턴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든 신경망 구조입니다. 사람의 시각 신호 처리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어요.

이 기술은 1990년대 초부터 연구됐지만, GPU(그래픽 처리 장치)가 발전한 2010년대에 본격적으로 빛을 발했습니다.


🔓 AI는 모두의 것이어야 합니다

얀 르쿤은 기술이 소수에게 독점되는 것을 매우 경계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생각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1. AGI는 한 기업이 독점해선 안 된다.
  2. AI 연구는 공개되어야 하며, 모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3. 공포를 자극하는 마케팅은 AI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

📝 주석: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란? 인간처럼 '넓고 유연한 사고'가 가능한 범용 인공지능을 말합니다. 단순한 챗봇이 아니라, 창의력·판단력·자기학습 능력을 모두 갖춘 AI죠.

이러한 철학은 Meta가 AI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LLaMA (2023년 2월 공개)
    초거대 언어 모델로, 연구자들을 위한 고성능 오픈 모델입니다. 르쿤은 공개 당시,
    _“LLaMA는 오픈사이언스와 연구 민주화를 위한 메타의 약속입니다.”_라고 밝혔습니다.
  • Segment Anything (2023년 4월)
    클릭 한 번으로 이미지 속 객체를 분리하는 최초의 범용 비전 모델입니다.
    “이 모델이 컴퓨터 비전 연구를 가속하고, 완전히 새로운 응용 분야를 열길 기대합니다.”
  • DINOv2 (2023년)
    라벨이 없는 이미지에서도 의미 있는 특징을 스스로 학습하는 비전 AI.
    “자, 오픈소스 AI로 나아갑시다!” 라며 Apache 2.0 라이선스로 완전 공개했습니다.

그는 Threads와 인터뷰 등에서 지속적으로 말했습니다:

“공개 연구와 오픈소스의 힘은, 모두가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또한 그는 오픈소스 AI의 미래를 리눅스에 비유하며,

“리눅스가 우리 모두에게 혜택을 준 것처럼, AI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 라고 강조했습니다.


⚖️ 다른 인물들과의 차이점

우리가 앞서 다룬 AI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위험한 AI'에 대해 경고했습니다.

  • 샘 알트먼: 강력한 AI는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
  • 일야 수츠케버: AGI는 반드시 통제되어야 한다고 강조
  • 엘론 머스크: AI가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

하지만 얀 르쿤은 이들과 다릅니다. 그는 말합니다:

"AI가 무섭다고요? 오히려 제대로 사용하지 않는 게 더 무서워요."

그는 AI를 '위험한 존재'로 바라보지 않습니다. 대신, 기회를 열어주는 도구로 생각합니다.


🔍 지금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요?

얀 르쿤은 현재 Meta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Meta의 장기 AI 전략 수립
  • 연구 조직 FAIR (Facebook AI Research) 창립 및 리더십
  • 다양한 오픈소스 AI 프로젝트 이끌기

그는 여전히 활발히 활동 중이며, 트위터(X)와 Threads에서도 자신의 견해를 자주 밝히고 있습니다. 특히, AI의 개방성과 교육의 기회에 대해 끊임없이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 정리하며

얀 르쿤은 단순한 기술자가 아닙니다. 그는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기술보다 사람을 중심에 놓는 개발자입니다. 그의 신념은 단순하지만 강력합니다:

"AI는 모두가 함께 만들어야 할 기술이다."

그가 열어둔 문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기술에 접근하고, 함께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정약용, AI 시대의 거중기를 묻다

“기계는 백성을 위한 손이 될 수 있을까?”


🐾 프롤로그: 거중기와 인공지능 사이에서

안녕하세요. 초보 리포터 랩냥 리포터입니다.

오늘 저는 오래된 물음 하나를 안고, 조선의 한 선비를 찾아갔습니다.
“기계는 사람을 도울 수 있을까?”

누군가는 AI를 두려워합니다.
누군가는 그것을 ‘편리한 도구’라고 말하죠.
하지만 그 도구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무엇을 위하여 만들어졌는지, 묻는 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사람을 위한 기계를 생각했던 한 선비를 찾아갔습니다.
그는 기술이 백성을 돕는 손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바로, 정약용 선생님입니다.


🧓 랩냥 리포터, 정약용 선생님께 묻다

🐾 랩냥 리포터

선생님, 저는 요즘 AI라는 걸 공부하고 있어요.
데이터를 분석해 사람을 돕기도 하지만, 때론 감시나 통제의 수단이 되기도 하죠.
기계는 정말로 사람을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을까요?

 

정약용

거중기는 무거운 돌을 가볍게 했습니다. 그러나 돌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지요.
기계란 본디, 그것을 다루는 이의 마음을 닮는 법입니다.

 

🐾 랩냥 리포터

요즘엔 AI가 사람보다 더 똑똑하다는 말도 있어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도 하고, 감정까지 흉내 낸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왠지 중요한 무언가가 빠져 있는 느낌이에요.

 

정약용

지식은 머리에 있고, 지혜는 가슴에 있습니다.
AI는 지식을 담는 그릇일 뿐,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지는 인간의 몫이지요.
'정치란 무엇인가'를 생각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제도가 사람을 이롭게 하려면, 먼저 사람을 알아야 하니까요.

 

🐾 랩냥 리포터

선생님께선 늘 백성을 중심에 두셨잖아요. '목민심서'도 백성을 위한 행정 지침서였고요. 그렇다면 오늘날 기술자들에게 필요한 건 어떤 마음일까요?

 

정약용

사람을 위한 기술은 사람을 헤아리는 마음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지요.
그것이 인간을 편하게 하고,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데 쓰여야 진정한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 랩냥 리포터

선생님이 지금 살아계셨다면, 어떤 AI 기술을 만들고 싶으셨을까요?

 

정약용

나는 아마도, 가난한 이들을 위한 건강 진단 도구나, 공정한 행정을 위한 예측 시스템을 만들었을 겁니다.
책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자동 해설기나, 백성들의 삶을 기록하고 살피는 데이터 기반 정책 도우미 말이지요.
결국 중요한 것은, 기술을 향한 의도가 바르냐는 것입니다.

 

🐾 랩냥 리포터

와... 정말 그 말씀 하나하나가 지금 AI 개발자들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 같아요.
AI 시대에 더 많은 이들이 선생님의 말을 들었으면 좋겠어요!

 

정약용

너도 기술을 다루는 자라면, 늘 물으시오.
"이것은 누구를 위한 기술인가?"


✨ 에필로그: AI 시대의 ‘거중기’를 다시 묻다

정약용 선생님은 말했습니다.
기술은 무거운 짐을 덜어주는 손이 되어야 한다고.

저는 오늘 깨달았습니다.
AI가 아무리 똑똑해도,
그것이 누구를 위해 작동하는지 묻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요.

그는 단지 발명가가 아니었습니다.
백성을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기술을 고민한 사람.
오늘날 우리가 만들어야 할 AI는, 바로 그런 마음을 닮아야 하지 않을까요?

랩냥 리포터는 생각합니다.
다음 시대의 거중기는,
코드를 짜는 손보다 먼저, 사람을 품는 마음에서 만들어진다고.

— 초보 리포터 랩냥


📌 정약용의 메시지 요약

  • 기술은 마음을 닮는다.
  • 지식은 많아도 지혜는 사람에게 있다.
  • AI는 새로운 거중기다. 하지만 방향은 인간이 정한다.
  • 사람을 위한 기술은 사람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된다.

🔍 더 알아보기

 

 

+ Recent posts